Identifying Programmatic Strategies
- 설정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수집된 정보를 어떻게 처리할 것인가?
- 설정된 목표를 어떻게 성취할 것인가 하는 전략을 결정할 단계
- 모든 목표는 각각 달성하기 위한 최소한 1개 이상의 전략을 가져야하며, 건축주의 요구가 빠짐없이 충족될 수 잇도록 사용자를 포함한 건축주와 함께 개발되고 검토되어야 한다.
- 전략이란 주로 조직 또는 운영에 관한 함축 의미를 지닌 개념
프로그램 목적을 이루기 위한 해결책으로 의도된 추상적 아이디어
- 프로젝트의 quality 결정
Ex) Neighborhood Clinic Project
1. Organizational Goal : 직원들이 이직하지 않고 장기간 근무하도록 한다.
2. Facility Goal
- 직원들 고려한 환경
- 식사, 휴식 위한 적절한 복지시설
- 쾌적한 작업공간 + 효율적 배치
3. ?
4. Programmatic Strategies
- 쾌적한 직원 휴식공간 제공
- 작업공간에 자연광 도입
5. Design Concept
- 잘 꾸며진 정원을 바라볼 수 있는 직원 라운지
- 환자의 Privacy 침해하는 일 없이 진료실과 사무실에 자연광을 도입할 수 있는 일련의 천창디자인
- Programmatic Strategy는 건축가가 폭넓게 physical solution을 선택할 수 있을 정도로 일반적, 추상적으로 설정
- Programmatic Strategy가 design alternative를 불필요하게 제약하지 않기 위해서는 일반적이고 추상적인 performance criteria 설정 (여러 개의 design solution이 도출되는가 검토)
- 전 단계에서 규명된 goal 검토→최소 1개 이상의 strategy
각 아이디어 다를 수 있도록 한다.
1. Type of Programmatic Strategy
- Aesthetic : image, form, psychological impact, context에 대한 시각적 관계 등
- functional : activity & behaviorial issue
- time : 시간에 따른 기능변화, 성장(how to grow) issue → shrink, flex, change 등
- cost : cost budget(전체예산), funding(자금확보) approach
(1) Aesthetic Strategy : 창의성 제약x, 표현 가장 어려움
바람직하지 못한 접근을 과장하는 diagram을 통해 보완
(긍정적인 해결책 구체적으로 제시 x)
ex) 아파트 디자인이 현대적 디자인이어야 하지만 주변의 역사적 지구의 건축물을 존중해야한다.
→ 주변건물 scale고려, 시각적 복잡성 고려, 복잡한 실루엣 고려
ex) 커뮤니티 센터 디자인은 방문객들로 하여금 환영 받는 느낌을 받도록 한다.
→ 건물 출입구는 bus stop과 주차장에서 볼 수 있도록 한다.
진입순서(bus stop/주차장 - 건물 - 출입구 - reception desk)
야간에도 잘 보이도록 한다.
스케일에 위압되지 않도록 한다.
(2) Functional Strategy ; 버블 다이어그램 형태 多
ex) recreation building : 다수의 사용자에게 편안한 circulation 제공
- 대형 체육/수영장 시설 : wayfinding이 어려울 수 있다.
- Master Bubble diagram : 각 요소에 대한 보다 상세한 bubble daigram
- Bubble diagram : 비 전문가도 쉽게 이해할 수 있는 형태
단지 관계만을 표현
- matrix : 각 공간이 다른 공간과 관련하여 갖는 중요성 표현
※디자인 guide로서 시각적으로 유용하게 전환 가능
ex) bubble diagram에서 거리를 최소화 할 수 있는 layout으로 변환
- matrix나 bubble diagram은 activity 간의 관계를 나타낼 뿐 아니라 관계의 본질에 대한 정보 제공
- activity area가 visual/audio communication, 편리한 circulation을 필요할 수 있다.
ex) waiting room ~ exam room
- 하나의 diagram에 많은 정보를 한꺼번에 표현하지 않는다.
우선 상대적 근접성 설정
(3) Economy Strategy : 경제적 실현가능성(예산을 포함한 비용분석)
- construction cost : 프로젝트의 질적인 면이 크게 좌우됨
상,중,하 3개의 수준으로 나누고 각 비용수준별 적용가능한 건설시스템의 종류를 파악하고 실현 가능한 전략 선택
- project cost : 토지, 세금, 건설기간 동안 부채상환, 프로그래밍, feasibility study, 설계, 구조설비시스템, 인허가 비용 등
경우에 따라서는 construction cost보다 많아질 수 있음
- life-cycle cost : 제품의 생산-사용-폐기 과정
운영 및 유지비용 (초기단계에서 신중히 고려)
장기적 운영 및 유지비용 vs construction cost
(4) Time Strategy
- 프로젝트 전체 일정
- 시간과 자원을 어떻게 적절하게 사용할 것인가?
- 일정표
2. Common Categories of Programming Strategy (text p.106~108)
a. Centralization & Decentralization
- activity, 물품, 서비스 등
ex) 사무소 공간 : 복사서비스의 집중/분산
교수 연구실 : 집중 - communication 기대, 학생의 접근 어려워짐
b. Flexibility
- 대부분의 건축유형에서 고려됨
- 사용자는 항상 flexibility를 원함
(그와 같은 universal space를 허용하지 못하므로 우선순위를 결정해야 한다.)
- size flexibility : 시간에 따른 확장/축소
ex) X-ray실 - high tech한 공간 옆에 low tech한 공간 배치
use flexibility : 시간에 따른 기능(용도)의 변경
ex) 종합병원 : 간호사 기숙사 → 병실
- 공간이 너무 flecible해서 multi-useless해지는 경우 주의해야한다.
c. Flow
- 작업이 어떻게 진행되는지에 대한 이해
"디자인은 효율적인 작업공간을 제공해야 한다."
ex) 건축사무소 - 여러개의 project를 동시에 진행하는 형식
- 하나의 project를 프로그래밍에서부터 디자인에 이르기까지 총괄하는 방식
ex) 문서보관서에서 - 자료의 흐름
d. Energy Conservation
- 에너지 비용 최소화
- 다른 사용시간을 가진 activity의 zoning을 통해 냉,난방 zone 분리
- energy-conscious design : 자연적인 냉,난방→냉난방 부하저감
e. Priorities
- 우선순위를 정해야 한다.(예산상/시간상 문제)
ex) 1st priority : 각 department가 각각 conference room을 갖는다.
2nd priority : 두 개의 department가 하나의 conference room을 갖는다.
3rd priority : 세 개의 department가 하나의 conference room을 갖는다.
f. Phasing
- 단계별로 짓는 것 (time goals, economy goals에 대한 분석 통해)
g. Level of Access
- security issues (일반인에 의한 진입차이)
ex) 연구소, 교정시설, 고가품상점, 재외공관시설 등
'Architecture'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대건축학과] 2013-2 건축프로그래밍 (0) | 2018.02.17 |
---|---|
[고대건축학과] 2013-2 건축프로그래밍 (2013.11.26) (0) | 2018.02.17 |
[고대건축학과] 2013-2 건축프로그래밍 (2013.11.12) (0) | 2018.02.17 |
[고대건축학과] 2013-2 건축프로그래밍 (2013.10.29) (0) | 2018.02.17 |
[고대건축학과] 2013-2 건축프로그래밍 (2013.11.5) (0) | 2018.0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