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chitecture

[고대건축학과] 2013-2 건축프로그래밍 (2013.11.5)

RWAs 2018. 2. 17. 20:44

인문환경분석

개발 대상의 건축물 또는 대지에 영향을 주고 받을 수 있는 주변의 인문적 요소를 조사,분석하는 일

인구, 사회문화적context,토지이용,교통,법적제약요소 등

1. 인구분석
- 광역의 지역이건, 하나의 단일 건물이건 사람의 구성, 혹은 분포등에 대해 분석하는 것이 필요

- 영향권 내 잠재 고객인구의 파악 경제적 수준, 연령분포, 라이프스타일, 구매패턴 등을 분석(입점점포의 종류, 주차장 규모, 마케팅, 디스플레이 패턴 등을 계획)


2. 교통분석

- 주변도로현황 및 장래계획 등에 대한 조사, 대형시설의 경우 교통영향평가

- 건축물을 이용하는 사람들의 교통시간, 거리 및 수단 조사

- site주변 그리고 site를 통과하는 교통의 유형, 경로, 방향, 속도, 양 등을 조사해야한다.

- 대도시의 주요간선도로는 공식적인 차량 통향량측정통계자료가 존재

- 공식적 통계자료가 없으면 직접 조사를 해야함(차량, 보행량)

- 직접조사시 신뢰성 있는 자료를 확보해야함

- 부지로의 진입에 어떤 식으로든 제약사항이 있는지 해당기관과 검토 필요.

- 경우에 따라서는 코너로부터 진입로 및 exit의 최소거리가 어때랴 하는지 혹은 신호 등으로부터 최소거리가 어때야 하는지 등에 대한 제약이 있을 수 잇음

-여러가지 교통상의 장애요소 즉, 급경사, 시야의 제약, 지름길을 택하려는 보행패턴 등에 의한 제약사항 등을 확실히 기록할 필요


3. 법규분석

- 대지의 방위, 형상, 대지경계선, 진입로제한, 용도지역에 따른 건축가능건물유형, 규모, 재료의 제한 등에 대한 정보를 확보해야 함

- site에 적용되는 건축법규 및 건축조례 등에 대한 충분한 이해 필요

- 용도지역, 건축후퇴선, 최소/최대 용적률, 건폐율, 높이제한, 주차대수 등 법규적 제약 조건을 반드시 분석해야함

- 현행 용도지역에서 제안된 건물용도가 허용되는지?

  만일 제안된 용도가 허용되지 않는다면 용도 변경이 가능한지?

- 건축후퇴선이나 높이제한 등에 의한 제약은 그림과 같이 시각적으로 쉽게 표현이 가능함

  건물외피 (building envelop, 건축물이 지어질 수 있는 최대 볼륨(maximum volume)


4. 설비

- 각종설비배관의 위치를 확인하여 기록함(가스, 상수도, 전화, 하수도, 전기)

- 지역내 utility line의 변경이나 신축계획 체크

- utility line이 지상에 존재하는지, 지하에 매설되어 잇는지 확인

- 만약 utility line이 부지까지 연결되지 않아서 연장해야 한다든가 설비용량이 부족하여 용량을 확충할 필요가 있을 경우
  → 토지개발계획(예산고려)


5. 사회문화적 맥락

- 많은 문화에서 건물배치계획, 토지이용계획이나 향에 대한 고정관념 존재(i.e. 풍수)

- 건물이 놓이는 위치, 출입구 위치, 가구배치 등 다양한 요소가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 (남향선호)

- 사회적으로 영안실, 장애인시설 등 사회적 혐오시설 기피 (NIMBY)

- 옥상녹화 등의 조경, 커뮤니티 이용 가능한 시설 들의 보상조치 등을 통한 협상절차가 필요


SITE DESIGN

1. 부지를 분석한다

- 부지내에 현재 존재하는 집수지역(개청, 습지, 웅덩이)에 대해 기록하며 현존하는 표면수의 흐름을 검토한다

- 또한 보존시켜야할 기존의 단지특성(구조물, 바위 ,나무 등), 건축선후퇴 등이 요구되는 곳 등의 문제점 등을 일일이 체크한다


2. 부지요소들을 위치시킨다

- 대지에 새로 제안되는 요소들(주차장 등)의 최적 장소 파악

- 새로운 요소의 장변은 절/성토를 최소화하기 위해 등고선과 평행하도록 한다


3. 주요지점의 표고(spot elevation)을 결정한다

- 주요부분의 경사면을 결정하기 위해서 꼭 필요한 지점의 표고를 계산한다

  주요지점의 표고계산은 가능한 한 여러 부분을 계산하여 두는 것이 유리하며, 이때 반드시 추측이 아닌 계산을 통해 결정해야 한다


4. 부지의 지형을 조작한다

- 주요지점의 표고결정 → 바로 인접한 등고선 위치 결정 → 새로운 등고선의 대략적 위치를 살짝 표시하며 등고선 사이의 거리를 잰다

- 새 등고선이 서로 겹치거나 대지 경계선을 넘어서 연장되거나 기존의 나무 canopy line까지 연장되지 않는지 확인하며 새로운 등고선이 표면수를 공적인 배수지역이나 부지 내의 배수지역으로 유도하는지 확인한다

4단계가 완료된 후 site design solution이 모든 problem statement에서 요구하는 사항을 만족시켰는지 확인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