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0209 「건축을 위한 철학」 by 브라코 미트로비치 정리 - 한스 게오르그 가다머 한스 게오르그 가다머(1900-2002) - 해석과 이해의 문제를 철학의 기본문제로 공식화 - '해석학'Hermeneutics '해석학적 순환' : 이해와 해석과정은 항상 순환적 텍스트의 이해(문맥&단어) → 역사적 사건의 이해 투사Projection 과정 "편견없는 이해란 없다." ← '지평'(맥락) '우리와 완전히 다른 지.. Architecture 2018.02.15
20140209 「건축을 위한 철학」 by 브라코 미트로비치 정리 - 마르틴 하이데거 마르틴 하이데거(1889-1976) - '순수한 의식'은 그 역사성을 억제함으로써만 역사적 의식에서 유래한다. - 우리가 생각하는 내용은 우리가 세계에 존재한다는 바로 그 사실에 의해 결정된다. → 선입견, 이해는 사전에 가지고 있던 이해에 의해 '항상 미리' 결정된다. - '다자인'(현존재) : 그 .. Architecture 2018.02.15
20140209 「건축을 위한 철학」 by 브라코 미트로비치 정리 - 19C 집단주의Collectivism / 전체론Holsim VS 개인주의Individualism 한스 제를마이어 vs 에른스트 곰브리치, 에르빈 파노프스키(집단주의에서 개인주의로) 르코르뷔지에 - 마르크스 "경제법칙은 필연적으로 우리의 행동과 생각을 지배한다." - 헤겔, 슈펭글러 "양식은 한 시대의 모든 작품에 생명을 불.. Architecture 2018.02.15
20140209 「건축을 위한 철학」 by 브라코 미트로비치 정리 - 칼 마르크스 - 헤겔의 이성 = 경제의 힘 - Superstructure & Infrastructure : 사상(계몽주의)→계급투쟁의 도구 & 경제적이해(자본가 논리)→생산관계 모형 → 플롤레타리아 혁명 & 공산주의 but 노동조합&평화적 인 정치적 압력 공산주의 혁명(쿠데타) "인간의 의식이 사회적 존재를 결정하는게 아니라 사회적 존.. Architecture 2018.02.15
20140209 「건축을 위한 철학」 by 브라코 미트로비치 정리 - 임마누엘 칸트 계몽주의 : '지도'를 거부하는 것 지적정직성 강조(합리적 논증) Vs 진보에 대한 순진한 믿음, 사이비 합리성 18C '미학' 등장 but 건축계는 여전히 과거의 사고방식에 매여있음 프랑수아 블롱델 : 고전비례, 음악적 조화 강조 클로드 페로 : 평균 비례 마르크 앙투앙 로지에 : '원시 오두막' 17C.. Architecture 2018.02.15
20140209 「건축을 위한 철학」 by 브라코 미트로비치 정리 - 피타고라스 융합학문의 시초 : 음악 + 수학 『티마이오스』, 플라톤 : '데미우르고스' → 신=우주의 건축가 Concept 피에트로 폼포나치(1462-1525) : 점성술 → 시대적/역사적 변화 → 시대정신 Concept 에라스무스(자유의지) vs 마틴 루터(예정) → 건축가의 창조성?? 황금비(20C 중반) : 모뒬로르 vs 과학기술(진.. Architecture 2018.02.15
20140209 「건축을 위한 철학」 by 브라코 미트로비치 정리 - 아리스토텔레스 인간영혼의 기능과 그 인지 과정을 체계적으로 기술한 최초의 사람 이 세상 밖 '영원한 형상' vs 이 세상 본질적 속성 & 부차적 속성 (사물 '속') 에이도스(형상) ≠ 형태 질료인, 형상인, 목적인, 작용인 → 목적인 - 先결과 (vs 先원인(르네상스 & 17C 근대과학)) 인지심리학 : 공통감각(Common Sen.. Architecture 2018.0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