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chitecture

[비엘 아레츠] 단순함의 파괴 - 안도 타다오

RWAs 2018. 2. 17. 20:28

Reality

건축에 대한 관점 ~ (자신의)삶에 대한 관점

전제요구 : 최근 몇십년동안의 일본의 실험주의를 포함한 관점


자기 건물의 기초적인 아키텍토닉 원리의 개발을 다듬기를 시도

문제해결에 있어서 지적인 접근보다 현실적인 접근에서의 해결을 추구

시대의 Ruling mental state를 고려하는 것이 제품의 품질과 수용성에 대한 필수 조건이다.


Roland Holst "씨앗은 어느 때보다 발아의 능력이 있지만 그것의 성숙과정을 결정짓는 때이다."


공예(craft)

사람과 건축사이의 관계 : 사람은 건축의 기본요소들을 연구함으로써 건축의 독립된 현상을 개발한다.


건축은 그것이 처한 현실에 반영된다 → 이 원리의 역사적 제품들은 실물로서 수용되고 분석되고 평가된다.

하지만 그것들이 다른 시기에 창작되었다고해서 그것들이 복제품으로 여겨지는 것이 아니고 건축은 사람과 함께 발전되었다.

Cf) Pavese 'craft'(not -ism) "작가로서 내는 작품이 그의 자아에 대한 진정한 작품이 되도록 하기위해 자신을 살핀다.


"그의 생애와 그의 관심을 끄는 요소들을 분석하고자한다.(더 깊이 있는 품질을 위해) 그의 작업을 개인의 것으로 실현시키는 것을 배운다."


특정 건물과 연결된 생활에 질서를 부여한다.

배경(background)

일본의 문화발전과 개방적 폐쇄성의 전통

서부, KANSAI(Kyoto, Osaka)→회의적 vs 동부, KANTO(Tokyo)→새로움에 매우 민감함

속뜻을 추구하고 전통지향적 삶에 새로운 요소를 더하고자 함

Ando:내향적, 타성적 성격, 인간의 감수성과 현실에 대한 강한 지각과 유머와 지성을 갖춤

새로운 기술에 대한 개방성, 문화적 일상적 현실에 기반한 독창성을 보여줌

아키텍토닉 공간이 독창적 현실로 보이는 실재에 기반한 건축

몸과 마음의 합일을 이끌어내는 실질적 공간

사람들의 inner lives와 공간이 직접적 관계가 있다고 믿는다

묘사와 완성(rendering and completion)

현태적 단순함의 추구 : 일본인의 감수성에 기반한 불완전성을 사용하여 안도 자신을 표현하는 방법의 결과로서 예기치 않은 중요성을 가진다.

안도는 계속된 묘사와 완성의 과정에서의 혼돈을 시도하고 해결하기 위한 구성을 사용한다.

빛→파편화되고 고립된 요소, 순수한 공간에서의 아키텍토닉 구성에 기여하는 파편.

그의 작품에서 계속 마주하는 '다른 것'의 존재에 대한 두드러지는 광경

틈새는 '기능적 공간'과 '상징적 공간' 사이에서 만들어진다.

Cf) Loos 'Emotion'

비평(criticism)

건축→실제적인 행위(일본에서의 삶의 현실)

Louis Kahn '거주', '집에 있는 것'

형태와 재료(form and material)

사람과 동료, 사람과 사물, 사물과 사물, 사람과 건축

Cacciari: 건축가가 공간의 언어를 발명하듯이 그는 재료의 언어를 생각해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