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chitecture

[스크랩] 천두식 가구법과 대량식 가구법

RWAs 2012. 9. 25. 20:28

                      천두식 가구법과 대량식 가구법

 

목재 뼈대로 형성되는 많은 시스템들이 있지만, 주거의 전통적인 분류로는 천두(穿斗)방식과 대량(擡梁)

방식이 있다. 전자는 양쯔강 남쪽에서 많이 사용되었고, 후자는 북쪽지역에서 사용되었다.

 

1. 천두식 가구법(기둥과 보 및 연결시스템)

 천두식에는 연결 보와 인방들이 기둥 속으로 연결되어 횡방향의 골조가 형성된다.

각 도리는 기둥에 의해서 지지된다. 두 개의 평행한 횡방향 골조는 종방향으로 놓이는 도리와 인방에 의

해 연결되어서, 한 칸(間)이라고 칭하는 사각형 공간을 형성한다. 일반적으로 한 칸은 최소 3 ~ 4m는 되

어야 한다. 외진주의 높이는 칸의 길이보다 약간 낮다. 칸의 수는 3칸부터 11칸 사이에서 필요한대로 임

의로 선택할 수 있다. 말하자면, 건물의 확장은 필요할 때에 기존의 건물에 횡방향의 골조를 종방향으로

단순히 덧붙이기만 하면 되는 것이다.

크게 나누어서 다음과 같은 서로 다른 네 종류의 기둥과 연결 보의 조합방법이 있다. 

* 기둥과 연결 보 유형(그림1) : 모든 기둥은 바닥에서 시작하여 도리까지 올라가서 그것을 지지한다.

 하나로 된 연결 보가 기둥들을 연결하면서 하나의 전체를 이룬다. 기둥 간격은 서까래의 길이와 동일하

 며,  일반적으로 1m이다.

* 도리까지 올라가는 기둥, 동자기둥, 다양한 길이의 연결 보 유형(그림2a,b.c)

  2-a) 기둥과 동자기둥을 하나 건너서 번갈아가며 사용한다. 도리는 기둥 또는 동자기둥에 의해서 지지

        된다. 연결 보는 위의 종류와 동일하다. 동자 기둥은 가장 아래의 연결 보 위에 놓인다.

  2-b) 바로 위 종류의 변형. 동자 기둥은 동일한 높이를 갖고, 각 동자 기둥은 한 개의 연결 보와 교차하

        고, 바로 아래에 있는 연결 보위에 놓인다.

  2-c) 바로 위 종류의 변형. 동자 기둥을 받치는 하단의 연결 보는 전체 길이가 아니며, 단지 두 기둥 사

        이를 가로 지른다. 

      이 세종류의 인접 기둥 사이의 간격은 약 1.2m이고, 도리 사이의 간격은 약0.6m이다.

* 목조 내쌓기 홍예 유형(그림3) : 캔틸레버 형식의 연결 보와 도리를 받치는 동자기둥에 의해서 형성된

   다. 

* 공통 서까래 유형(그림4) : 도리들이 공통 서까래들의 위에 놓이고, 다시 이 서까래들은 기둥과 동자기

  둥에 의해서 지지된다. 다른 종류에 비해 이 조합에서는 더 작은 수의 기둥이 사용된다. 기둥 간격은

  2 ~ 3m이고, 도리 간격은 0.5 ~ 0.7m이다.

  

                                                    (그림 :  천두식 구조의 골조들)

 

 

2. 대량식 가구법(기둥과 보 및 동자기둥 체계)

 한 칸은 3차원 구조의 단위를 형성하는 네 개의 기둥과 보들로 만들어지며, 이를 따라서 건물 골조가

세워진다. 천두식과 비교하여 적은 수의 기둥이 사용된다. 필요한 지붕의 높이에 따라, 횡단면 방향에서

작은 보를 받치는 동자기둥이 큰 보 위에 놓이는 형식으로 상층의 작은 보와 동자기둥이 사용된다.

용마루 아래의 도리를 제외하고 모든 도리는 뼈대의 어깨 위에 종방향으로 놓인다.

서까래는 도리와 도리 사이에 놓이며, 서까래가 걸리는 도리 사이의 간격은 약 1 ~ 1.5m 정도이다.

일반적으로 대량식은 5개의 도리(혹은 네 개의 서까래)로 구성되고, 가장 긴 보의 길이는 4 ~ 6m 정도

이다. 더 큰 공간이 요구될 때에는 뼈대의 치수를 조절하거나, 앞이나 뒤 혹은 앞뒤 모두에 구조부재를

추가해 확장함으로써 더 큰 공간이 만들어질 수 있다.

 

                                                    (그림 : 대량식 구조의 골조들)

 

'중국 목조건축의 구조/귀칭화 지음,윤재신 옮김/동녘' 에서 발췌.

출처 : 나무과자
글쓴이 : 순돌이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