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chitecture

20130326(화) 특강-지중해 세계의 쇠락, 김응종(충남대 사학과)

RWAs 2018. 2. 11. 23:15

종교


바로크
: 종교개혁의 유산(급진적), "우상파괴"

교회(소박함) vs 성당(화려함)


17C중반, 지중해(카톨릭) → 대서양(프로테스탄트)


비교 ① 베르사유 궁전

: 반종교개혁의 상징, 왕정의 상징(권위성)

카톨릭

로마제국(지중해지역) 중심


비교 ② 로코코

: 반왕정의 상징, 부르주아계층 대변

프로테스탄트

비로마제국지역(독일, 스코틀랜드) 중심


6C 비잔틴제국

7~8C 이슬람 팽창: 이베리아 반도까지 점령(지중해 차지)

9C 샤를마뉴 시대(수도 아헨)

14~15C 백년전쟁 종료 ↔ 오스만투르크 제국 유럽 진출: "우리 유럽의 위험"(여성의 모습으로 묘사된 유럽)

           레콩키스타 종결(이베리아 반도 재점령)

15C 바스쿠다가마 인도진출 "바다시대" ↔ 명나라 정화의 인도양 순항

      은 대량유입(아메리카 대륙정복+ 볼리비아 포토시 광산) : 브라질→필리핀, 유럽/중국/일본의 필리핀 진출

16C 제국시대: 이탈리아를 중심으로 스페인vs신성로마제국, 프랑스vs오토만제국의 각축 → 문명의 발전(마키아 벨리, 르네상스)

      레판토해전(1571): 베니스+교황청+스페인vs오스만제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