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10 스터디거리
https://www.world-architects.com/en/architecture-news/insight/blending-worlds
Blending Worlds - The New Springer-Verlag Building in Berlin by Rem Koolhaas
"Journalism is chatting in the corridor." This bon mot by publisher Henri Nannen from Hamburg has been translated into architecture at the new...
www.world-architects.com
Hwang Doo-jin of Doojin Hwang Architects on Universal Space and Traditional Korean Architecture
Hwang Doo-jin discusses traditional Korean Architecture, universal space, and his traditional approach for an alternative contemporary architecture.
www.archdaily.com
Multidisciplinary practice TCA Think Tank, 설립자 Pier Alessio Rizzardi
『The Conditons of Seoul』 출간
황두진 건축가와의 인터뷰
- 한국의 전통건축
- 보편적 공간
- 대안적 현대건축을 위한 그의 전통적 접근법
Universal Space → the original raison d’être of architecture (건축의 본래의 존재 이유)
Missing Context 맥락의 상실
서울에 남아있는 가장 오래된 건물은 19세기 후반에 지어진 것 → 놀라운 일
그렇다고 건축행위가 완전히 Tabula Rasa(백지) 상태에서 시작하는 것은 아니다.
Sensitive Architecture(섬세한 건축)을 위해서는 신중할 필요가 있다.
User Spatial Expectation사용자의 공간적 기대감
형태보다는 경험 조성에 기울어진 편
a firm believer in the Piranesian space → 전통적인 한국 건축물을 다루는 작업에 매료된 이유
ex) etchings of Rome and of fictitious and atmospheric "prisons" (Le Carceri d'Invenzione).
a typical contemporary architect who has continuously been engaged in designing new traditional Hanoks
Hanok is a wonderful example of Asian Piranesian space
→ a lot of visual penetrations + a great juxtaposition of many types of geometry
ex) 선자서까래
Old Hanok, New Hanok고전적 한옥과 신유형의 한옥
한옥지붕의 이슈 → 기와 대신 유리의 가능성
미스의 유리 마천루(1922) 순수 골조 상태가 주는 이상적인 미학과 외피로 인한 손상
항상 전통적인 방식만 고집하는 현재에 대한 불만 → 실험적인 태도와 접근
전통건축의 원리를 현대건축에 적용 → 수많은 비평
→ 누군가는 해야하는 일 + 사회적 요구에 대한 반응
철골+유리 구조 vs 전통적 목조 구조 → 경량화의 이슈 도출
by creating a sandwich beam with metal plates in the middle and wood pieces(as a fire insulation) on both sides
Beyond Program프로그램을 넘어선
기능의 비고정성 → 기술적 한계 극복으로 가능
모더니즘의 종말
Mies’s Universal Space의 가능성 → 어떤 실의 기능적 해결책 마련에 대한 부담감 해소 및 건물의 존재 이유로의 회귀
건물: 자연과 인간의 중재역할 → 기능의 부담에서 해소됨으로써 공간과 구조의 감각적인 측면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해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