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chitecture

[고대건축학과] 2013-2 건축프로그래밍 (2013.11.12)

RWAs 2018. 2. 17. 20:52

Case#1

(1) Program

다음과 같은 site에 2개의 새로운 건물이 위치해야한다.

이 두 건물은 가능한  최소한의 절/성토 작업만을 허용하도록 위치되어야 한다.

- 최대 경사도 : 건물 2%, 절/성토 경사도 33%(3:1)

- 건축선 후퇴 : 북 30'-0" (9m), 남 25'-0" (7.5m), 동-서 15'-0" (4.5m)

- 건물의 형태는 그림과 같다.(회전가능)

- 두 건물 사이의 표고차는 3' (90cm)이어야 한다.

- 옹벽은 사용되어서는 안 된다.

- 모든 새로운 grading은 절토와 성토 사이에 균형이 맞아야 한다.

- 모든 grading은 대지 경계선 안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2) Assignment

- Site plan에 모든 건축선을 그리고 건축선임을 표시한다.

- 점선을 이용하여 두 건물의 위치를 그리고 각각의 건물 4코너의 spot elevation을 나타내어라.

- 실선으로 새로운 등고선을 그려라.


Case#2

(1) Program

다음과 같은 site에 새로운 주차장을 만들려고 한다.

이것은 불가피하게 기존부지의 grading을 요구하게 되는데 요구 조건은 다음과 같다.

- 최대 경사 : driveway 5%, parking lot 2%, 절/성토 slope 25%(4:1)

- 표면수는 driveway 남서쪽 코너길로 유도 배수

- Swale은 swale의 중심선에서 특정할 때 최소 2% 경사도

- Driveway나 parking lot을 위한 턱은 parking lor 내부의 island를 제외하고는 따로 마련하지 않는다.

- 기존 수목의 canopy 내에 어떠한 변화도 용납하지 않는다.

- 모든 절/성토는 대지경계선 내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2) Assignment

- Site plan에 실선으로 새 등고선을 그려라. swale의 중심선을 점선으로 그린다. 화살표로 water flow의 방향을 표시하라.

- Driveway의 아래부분과 윗 부분, 그리고 parking lot의 4코너에 spot elevation을 표시하라.


Case#3

(1) Program

Site plan에서 보듯이 club house에 tennis court를 증설하려고 한다.

기존의 club house나 terrace, parking lot에는 아무 변화가 없으며, 요구조건은 다음과 같다.

- 건축선 : from yard 6'-0", from building 20'-0", from parking lot 50'-0"

- 새로운 tennis court의 형태

- Tennis court는 최대 1% cross slope 즉, court의 장축에 직각으로, 경사가 최대 1% 넘어서는 안 된다.

- 비포장부분의 최대경사 20%

- 배수를 위한 swale은 swale의 중심선에서 측정하여 최소 2% 이상 경사도

- 새로 만들어지는 보행로 최대 5% 경사로

(2) Assignment

- Site plan에 모든 건축선을 그려라.

- 북남방향으로 court의 장축

- Court에서 club house의 terrace로 향하는 5'-0" 폭의 보행로

- 새로운 court를 그려라. 점선으로 swale의 중심선을 그리고 물이 어떤 방향으로 흐를지 표시하라.

- 4 spot elevation을 표시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