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1111(월) Richard Meier 스터디 정리
Getty Center
- 건물이 지어지기 전 모습을 알 수 있어서 좋았음
Panoramic view : wonderful site
- 트레이싱지를 올려놓고 site boundary 정할 때 그 임의적인/감각적인 손놀림에 놀랐음
Topo line 무시, 대가다운 모습
- 축의 도입에 대한 얘기 : 도시를 향한 축 + High way를 따르는 축 → Arms
고전적인 수법 : 사람들의 행동을 control(하려는 의도)
↓
행동결정론 vs 비결정론
ex) 예술의 전당, 슬럼화, 로마의 도시계획 (어떤 쪽이든 예외가/반대되는 현상이 발생함)
↓
말하는 건축가, 정기용선생님 : User들을 위해 설계하려는 노력 (가장 중요함)
- 축선 사이에 계획된 Garden + Tram line부터 site 주변을 따라 계획된 조경(landscape)
→ 조경설계가의 뛰어난 drawings, coloring
(초기부터 계획된)중앙 garden의 미로 : 처음에 존재를 몰랐음
visitor들의 시선을 잡아끔 → 남쪽으로 펼쳐진 view의 감상방해
반대로 건물을 향한 view에서는 큰 영향 없을듯
높이가 낮아서 그저 감상용의 역할 (체험x)
고전적인 느낌 → 중세정원 같은
중앙 garden의 폭포 : 어떻게 수공간을 만들어낼지? (수원의 문제)
척추 + 다리의 형상
- 초기부터 계획된 프로그램들을 기하학적 도형으로 치환하여 배치
기준 grid : 130x130 → 사용단위의 차이로 추정
건물들간의 인동간 거리도 기하학적 방법으로 처리함
→ 디자인을 전개하는 방법론 상의 일관성 (감각적 접근 지양, 객관성&논리성)
cf) Frank O. Gehry, Zaha Hadid
- 빛에 대한 의미 : 좀 다른 느낌의 White에 대한 요구
다양하게 변하는 상황을 거짓없이 반영함 → 순수함, 완전함 의미
ex) 'Douglas House' 사진
※프리즘 효과 : 빛은 다양성의 집합(백색) → 어느 한 색이라도 빠지면 특정한 색이 나타남 (∴완결성vs불완결성)
- Travertine
재료선정의 신중함 → Although some lighter or some darker, It looks "white"
공법의 신선함 → 결을 따라 내려침
각각의 부재마다 임의의 두께가 됨
독특한 양감
거친 마감 vs 매끈한 마감 → 너무 거칠면 투박하고 불편한 느낌을 줌
너무 깔끔한 마감은 딱딱 떨어지는 edge로 인해 숨막히는 느낌을 줌
- Mock-up model / Large scale model의 장점
실질적인 느낌을 쉽게 알아볼 수 있음 → 특히 travertine mock-up
시간이 오래걸림 → 혼자서는 거의 불가능
camera 촬영이 용이해짐 → 사람 모형과 함께!!
"내부를 들여다 볼 수 있는 전시실 모형" : 하나의 전시실이 하나의 unit이 되지 않고 두 unit이 합쳐져서 한 전시실이 됨("house" 느낌)
- Tram line의 곡선형 rail → 건축적 산책로 개념
기하학적 축을 따라 일직선으로 뻗지 않음
등고선을 따라 완만하게 진행
- 거대한 site & Building complex
고려대와 면적비교 cf)대학캠퍼스, 놀이동산
complex scale에서는 대체적으로 형태가 유사해짐 (기능과 큰 연관x)
"왜 저 산을 저렇게 만들었냐" 소리 듣고 싶지 않음
→ 층고 억제, 착 앉혀진/가라앉은/눌러준 느낌
- 벤치의 edge vs Dull finishing → 애기들의 안전
Jubilee Church
요한 바오로2세에 의해 계획됨
사이트는 로마 동쪽의 어떤 교외지역에 있는 주거단지
→ 먼저 주거단지가 있었는지 아닌지는 모름
독특한 배치계획의 주거단지가 흥미로움 (부채살모양)
주거단지 서쪽 부채살 모양의 주거동에 쐐기 형태로 박힘
진입로 축을 따라 북쪽의 secular precinct(community center)와 남쪽의 sacred realm(chuch)으로 구분됨
※sagrato : sagrada familia와 유사
건물남쪽의 3개의 shells - holy trinity 상징
- 고해성사실(reconciliation/confessional room) : 3 blocks
교육실(catechism/chapel)
세례실(reflecting pool/baptistery) : plan에서 고해성사실 밑에 애매한 곳으로 추정
※ Text에서 교육실에서 altar쪽으로 구멍을 뚫어 view를 제공한다고 써있음
(a view of the main altar through a judiciously placed aperture)
- 3개의 반지름이 같은 원 : 중심?
- 바닥조명
- 햇빛을 효과적으로 투과시킴Clear glass(translucent)
중앙미사실 부분
- 주 출입구의 축과 십자가가 어긋남
십자가의 축은 성도석의 중심축과 일치
십자가 뒤로 깊이 있게 뚫릴 창과의 배치
→ 독특한 layout, 어떤 기준으로??
- 성수대가 없음 (독특하다)
- 주 출입구 쪽 상부의 organ loft & 성가대실(?)
- 거대한 천창(zenithal light) → 예배에 집중 안 되고 하늘만 보게 될 거 같다
비나 눈이 오면 재밌을듯
천창 위의 철구조물 : support용
- 우측의 완만한 곡면벽 + wood paneling
→ community center로의 소음차단기능, slit 사이로 속이 보임
Community center 부분
- 독립된 program이 아니라 교회에 종속되어 있음
- Sunken garden → section의 중요성
- (발코니에 의한) 독특한 입면
Section
- 교회 지하에 있는 실들은 무엇을 위한 것인지??
- 구조(3 shells) : pre-cast concrete segments & post-tensioned in-situ
→ inner & outer shells + styrofoam
- 기계식 에어컨/난방 설비가 필요없음
- 자연환기 시스템 → Thermal stack effect